반응형
장애인과 중증 질환자는 일상생활에 있어 다양한 어려움을 겪습니다. 이에 따라 정부와 지자체는 생계, 의료, 돌봄, 교통 등 여러 영역에서 맞춤형 복지 혜택을 지원하고 있습니다.
보조금24를 이용하면 개인의 장애 등급과 소득 조건에 따라 신청 가능한 복지제도와 감면 혜택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1. 장애인연금 (보건복지부)
- 대상: 만 18세 이상 중증장애인 중 소득·재산 기준 충족자
- 내용: 기초급여(월 최대 323,180원) + 부가급여(소득수준별 추가)
- 용도: 생계 보조용 현금지급
- 신청처: 읍면동 주민센터 또는 복지로
2. 장애인활동지원서비스
- 대상: 일상생활 수행이 어려운 중증장애인
- 지원내용: 활동지원사 파견 – 식사, 세면, 외출, 가사 등 돌봄
- 지원시간: 월 100~200시간 내외, 장애 정도에 따라 차등
- 본인부담금: 소득 수준에 따라 일부 납부
3. 의료비 지원 제도
✔ 장애인 보장구 지원
- 보장구 품목: 휠체어, 보청기, 욕창 방지 매트리스 등
- 지원금액: 품목별 기준 금액 내 전액 또는 일부 지원
- 요건: 등록 장애인 + 건강보험 가입자
✔ 재난적의료비 지원
- 중증질환자 중 1년에 총 진료비가 소득 대비 과다한 경우
- 지원한도: 연 최대 3천만 원 (비급여 포함)
- 신청처: 병원 사회복지팀 또는 국민건강보험공단
4. 교통비 및 통신요금 감면
- 장애인 등록 시 전국 지하철·시내버스 요금 감면 또는 무료
- 고속버스·KTX 등 일부 대중교통 30~50% 할인 적용
- 이동통신요금 감면: 월 최대 26,000원까지 할인
- 시각·청각장애인 전용 스마트폰 요금제도 운영 중
해당 혜택은 보조금24에서 ‘교통비 감면’, ‘통신요금 지원’ 항목으로 자동 조회 가능
5. 장애인 고용 및 자립 지원
- 장애인고용장려금: 고용 사업주 대상 지원금 (간접 수혜 가능)
- 장애인 맞춤훈련 지원: 직업재활시설, 중증장애인 직업훈련비
- 장애인 창업지원: 초기 창업비 및 시설 임대료 지원
- 보조금24에서 ‘자립지원’ 항목 확인
6. 기초생활보장제도와의 연계
- 장애인 중 중위소득 30~50% 이하일 경우 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수급 가능
- 의료급여 자동 포함되며 병원비 대폭 경감
- 장애인연금과 일부 중복 수급 가능
7. 보조금24에서 신청 가능한 장애인 혜택 확인 방법
- 보조금24 접속 → 로그인
- 장애인 등록 여부와 소득 조건 자동 연동
- ‘맞춤형 혜택’ 조회 클릭
- 활동지원, 연금, 감면 혜택 자동 제시
TIP: 모바일에서도 정부24 앱 설치 후 보조금24 메뉴 이용 가능
자주 묻는 질문 (FAQ)
Q. 경증장애인은 어떤 혜택을 받을 수 있나요?
A. 보장구 지원, 통신비 감면, 일부 지역 교통비 감면 등은 경증도 포함됩니다.
Q. 장애인연금과 기초생활보장급여를 동시에 받을 수 있나요?
A. 중복 수급 가능하나 일부 연금은 생계급여 산정 시 감액 처리됩니다.
Q. 신청은 어디서 하나요?
A. 보조금24는 조회용이며, 실제 신청은 주민센터, 복지로, 국민연금공단 등을 통해 진행됩니다.
장애인 복지, 보조금24로 먼저 확인하세요
장애를 가진 분들과 가족을 위한 복지 혜택은 다양하지만, 제대로 알지 못해 놓치고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보조금24를 통해 본인의 등록 장애 여부와 소득 기준을 입력하면 받을 수 있는 복지 혜택이 자동으로 안내됩니다.
지금 실천해보세요:
- 보조금24 접속 후 본인 인증
- 맞춤형 혜택 조회
- 해당 제도 신청처 안내 확인
복지 사각지대에서 벗어나, 필요한 도움을 받으세요.
반응형